
들어가기전에
안녕하세요~ 여기까지 들어오신 여러분처럼 저도 Pearl Tiger 조명콘솔을 배워야 하는 입장입니다. 한글로 번역된 메뉴얼이 인터넷상에 돌아다니긴하지만, 번역의 어색한 말투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차근차근 한 파트씩 공부하면서 좀 더 이해하기 쉬운 말투와 단어선정으로 메뉴얼을 수정해가며 올릴려고 합니다. 물론 저도 아직 배우는 입장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데, 너그러운 마음으로 댓글남겨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한 메뉴얼은 Pearl 2004버전인데, 이 메뉴얼만 봐도 Pearl2000, Pearl2004, Pearl2008, Pearl Tiger 등의 기능을 파악하는데는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이 메뉴얼은 Pearl 2000/2004 콘솔을 다루기위해 만들어졌다. 더 쉽게 내용을 보기 위해서 내용을 두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놓았다.
-
첫번째 섹션은 Pearl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튜토리얼이다. 만일 콘솔을 처음 접한다면, 이 부분을 보면 될 것이다.
-
두번째 섹션은 Pearl에 관한 모든 것을 알려주는 심화과정이다.
두 개의 섹션 사이를 이동하면서 볼 수 있도록, '같은 장' = '같은 번호'로 만들었다. 그래서 만약 튜토리얼을 보다가 더 많은 정보를 원한다면, 같은 장 번호의 심화과정을 보면 된다.
심화과정의 뒤쪽에는, 메뉴얼에 사용된 용어를 설명하는 Glossary(용어사전)이 있고, 메뉴얼에서 필요한 것들을 찾을 수 있도록 Index(색인)이 있다.
이 메뉴얼은 Pearl 2000과 Pearl 2004 콘솔 두 가지 모두 사용된다.
01.1 Pearl 조명콘솔 세팅하기
Pearl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연결시켜야 할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을 연결시키는 동안에는 전원을 꺼 놓아야 한다.
중요! : 사용자의 메인 전원과 콘솔의 전압이 정확히 맞는지 확인해봐야한다. 콘솔 뒷쪽(파워소켓 옆)에 있는 전압표시를 확인해 봐야 한다.
만약 잘못된 전압으로 전원을 연결한다면, 파워서플라이는 고장날 수 있다.
전압을 정확하게 맞췄으면, 콘솔에 전원선을 꽂아 연결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optional VGA(추가모니터) 창을 사용하려면, 콘솔 뒷면의 VGA output에 VGA 모니터를 연결시킨다. VGA 창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연결하면 콘솔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일부 내용이 모니터에 보여진다.
DMX output을 사용자의 조명기구나 딤머에 연결시킨다. Pearl2004는 4개의 DMX output 소켓을 가지고 있다. Pearl 2000 은 DMX 소켓이 2 개뿐 이지만 splitter cable(분배 케이블) 을 사용해서 4 개의 DMX 선을 연결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심화과정 01장을 참고)
콘솔 위의 왼쪽에 있는 소켓(Lamp)에 데스크 조명을 연결시킨다.
만일 QWERTY 키보드를 갖고 있을 경우, 그것을 콘솔 뒤쪽 소켓에 끼운다.
전원을 켠다. (전원을 켰다면 콘솔 창이나 VGA 창이 켜져야 한다.)
01.2 Pearl 콘솔에 대하여

Pearl 을 처음 접하면 수많은 슬라이더와 버튼들을 보게 될 것이다. 하지만 겁먹지 마라.
메인 컨트롤들은 다음과 같다.
-
Preset Faders 는 개별 딤머 채널들과 조명기의 빛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Fader 아래 2 개의 버튼은 조명기를 선택하고 켜는데 사용된다. 각 fader 와 버튼들은 “ Handle(핸들)” 이라고 부른다.
-
Mode select key switch 는 콘솔의 조작 모드를 조정한다. Program 모드는 쇼를 프로그램 할 때(만들때), Run 모드는 쇼를 운영할 때, 그리고 System 모드는 사용자 환경에 맞게 콘솔을 설정 할 때 사용한다.
-
Page select roller 는 playback 의 다른 페이지들을 고를 때 사용하며, playback 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당신이 알 수 있도록 롤러 위에 playback 의 이름을 써 넣을 수 있다.
-
Master faders 는 콘솔의 여러 가지 부분의 종합적인 출력을 제어한다. 보통은 이것을 full 로 설정하도록 한다.
-
Playback faders 와 flash buttons 은 쇼를 실행 할 때, 프로그램 된 메모리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
Main display 는 콘솔의 주 된 활동이나 쇼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창을 통해 보여준다.
-
Control wheels 은 조명기에 제어 값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chase 의 속도나 fades 값을 설정할 때에도 사용된다.
-
Menu softkeys (A - G 로 라벨이 붙은)는 제어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튼 옆의 화면은 각각 어떤 일을 할 것인지 보여준다. 각 키 변경의 옵션은 콘솔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이 메뉴얼에서 Softkey 명령은 다음처럼 각괄호로 표시한다. : A [Chase Parameters]
-
Numeric keypad 와 다른 컨트롤 버튼들은 값을 입력하고 콘솔의 제어 변경을 위해 사용된다.
-
Fixture Page 버튼들은 keypad 아래에 있는데, 각각 Preset Faders 들의 4 개 페이지를 나타낸다.
-
파란색 Command buttons 은 메모리를 저장, 복사, 디스크로 저장 등등과 같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버튼들이 작동 될 때는 표시하기 위해서 LED 라이트가 켜진다.
-
Attribute select buttons 은 control wheel 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조명기의 속성 (예, 컬러, 고보, pan, focus)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버튼 들은 속성이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LED 가 켜지고 가장 아래쪽(적색) 버튼은 쇼 동안에 포지션이 틀리면 조명기의 intensity 를 줄일 수 있는 버튼이다.

VDU screen은 콘솔의 화면 보다 더 많은 정보를 보여 준다. 콘솔을 셋업하고 쇼를 프로그램 할 때 유용하다. 텍스트나 숫자를 입력할 때, 타이핑하는 것은 오직 VGA 화면에만 보여진다. 종종 쇼를 실행할 때 그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화면은 주로, 사용하고 있는 조명기의 타입 중 하나를 위해 콘솔의 출력을 보여 준다 (View버튼을 사용하면 다른 내용도 볼 수 있다, "심화과정 01장-2-4 스크린보기"를 참조하시오). 화면의 아래 부분에는 현재 페이지에 저장된 쇼 메모리를 보여준다. 스크린의 오른쪽에 "A B"는 현재 control wheels에 지정된 기능을 나타낸다.
01.3 Pearl 콘솔 시뮬레이터 (Pearl simulator)
Avolites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Pearl simulator 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PC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진짜 콘솔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Pearl 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게 한다. 콘솔에 패치도 할 수 있고, Avolites Visualiser 를 이용해 쇼 메모리도 할 수 있으며, 그것을 디스크에 저장하여 진짜 콘솔에 로드 시킬 수도 있다. Simulator 의 사용은 진짜 Pearl 콘솔을 다루는 것과 거의 같다.
01.4 Pearl 콘솔 세팅을 마치며

이번 장의 나머지는 간단한 튜토리얼이다. 만약 이전에 Avolites 콘솔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튜토리얼 섹션의 나머지를 따라하면 당신은 사파이어를 켜고 실행 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으로 쇼를 프로그램하고 실행 할 수 있을 것이다. 튜토리얼은 콘솔을 셋업하고 작동하는 일에 필요한 순서로 만들어졌고, 그래서 순서대로 따라하면 된다. 최고의 실력을 위해 그것들을 만들려면 셋업하고 실행해 볼 moving light나 dimmer같은 몇 개의 조명기가 필요할 것이다. 만약 직접 실제 조명기를 가질 수 없다면 Avolites Visualiser 에서 몇 개의 조명기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새로운 쇼를 프로그래밍할 준비를 할 때, 다음 사항들이 매우 유용할 것이다.
-
장비의 조명 계획을 대강 그려본다.
-
작업내용을 빈 floppy disk 에 저장 한다.
-
흰 테이프나 깨끗한 테이프를 이용해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콘솔에 마킹 할 수 있다.
-
종이와 펜으로 메모를 한다 (무릎 위에서건, 너의 능력껏).
-
메뉴얼이나 조명기의 DMX tables 을 이용한다.
만약 당신이 새로운 재치 있는 조명이나 한 단계 높은 새로운 조명을 하려고 한다면 튜토리얼의 12장을 읽어보라. 조명이 디지털 컨트롤 되는 개념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이 장은 메뉴얼의 나머지 부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심화과정의 뒷쪽에 있는 용어 설명은 분명치 않은 조명 용어들을 잘 설명해 놓아서 우린 메뉴얼을 사용한다.
만약 오래된 Pearl software를 사용하고 있다면, 튜토리얼의 14장을 읽어보라. 두 가지 콘솔 사이에서의 다른 점을 금방 알게 해 줄 것이다.
'Pearl Tiger 조명콘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토리얼] 02.조명기기와 Pearl콘솔 연결하기 (Patching) (1) (0) | 2020.07.27 |
---|